Jinwoo Hwon Lee
이훤







집은 어디에나 있고 자주 아무 데도 없다 Home is everywhere and quite often nowhere, (2019-2022)


ㅡ Two of the images,

Home is everywhere and quite often nowhere

, were exhibited in 《PHOTOGRAPHY BY ANY MEANS》 curated by Samantha Johnston(Executive Director and Curator of Colorado Photographic Center of Arts) and Rose Fredrick(Curator of PACE Center Gallery) at PACE Gallery, 2021

ㅡ Exhibited on a Billboard Exhibition curated by Nour Ballot and sponsored by Red Bull Arts, 2021 

ㅡ Exhibited and Reviewed in KNOWER Magazine Gallery 아는사람 매거진, 2021 
https://knower2020.com/INTRO/view/2246337


ㅡ Image <집은 어디에나 있고 자주 아무 데도 없다Home is Everywhere and Often Nowhere> was used as a cover of AROUND Magazine어라운드 매거진 Issue 76, Photo-Interview, 2021


ㅡ One of the images was used as the cover of The Bell Jar벨 자 by Sylvia Plath실비아 플라쓰 (마음산책, 2020)


ㅡ Featured as a Photo-Interview for AROUND Magazine 어라운드 매거진 Issue 76, 2021


ㅡ Partially featured in PAPER Magazine 페이퍼 매거진, 2020


ㅡ Partially featured in An Usual Magazine 언 유주얼 매거진, 2020





 We experience inconsistent perception of home even when we are inside of it. Through the images of metaphors, <집은 어디에나 있고 자주 아무 데도 없다 Home Is Everywhere and Often Nowhere> (2019-ongoing) surveys different forms of placeless-ness experienced. The series began with specific emotions at first. It began with an effort to visually portray the dwindling experiences of migrants. While doing research and interviews with colleagues and viewers from different backgrounds, it was realized that many of us, not just migrants, experience a transient sense of home. That many of us cope with a sporadic sense of belonging -- among the rapidly moving culture, lack of intimacy, fragile identities and proximity to platforms where we are constantly seen. As the work progressed, the sight of home changed for me as well. Home moved from “a physical place we reside with loved ones” to “the state of being abled without consequences.” Where and what is the home for you? What enables it?



우리는 생각보다 자주 바깥에 있다. 집은 흔하게 목격되지만 오해되기도 한다. 내부에서 서늘한 바깥이 지속되거나 바깥에서 가장 내밀한 집을 획득하기도 한다. 어디로도 가지 못하는 집 없는 상태에 놓이기도 한다. 집이 늘 공간의 형태에 그치는 건 아니다. 언어, 풍경, 정서적인 상태, 음식이 집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집은 어디에나 있고 자주 아무 데도 없다Home is everywehere and nowhere 시리즈는 여러 형태의 집을 기록하고 그것을 드나드는 여러 보폭을 따라가며 담은 작업이다. 이민자가 겪는 집의 부재감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시작한 이 시리즈를 완성하는 동안 이민의 경험 없는 꽤 많은 사람들 또한 비슷한 마음을 겪는다는 걸 알게 되었다. 너무 빠르게 움직이는 문화 사이에서, 결여된 내밀함과 침범 받는 정체성 안팎에서, 늘 보여져야 하는 사회적 기후 속에서 집은 자주 불가능해진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나에게 집은 아끼는 타인과 머무는 물리적인 공간에서 나인 채로 충분해지거나 가능해지는 장면들, 순간이나 상태로 옮겨갔다. 당신에게 집은 무엇이고 어디에 거하는가. 그것은 어떻게 가능해지는가.












































































































Photo by Peter Costas







Photo by Peter Costas



Using Format